韓 올들어 수출증가세 10대 수출대국 중 '최고'
상태바
韓 올들어 수출증가세 10대 수출대국 중 '최고'
  • 김형대 기자
  • 승인 2017.04.23 09: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리아포스트 김형대 기자] 한국의 올해 들어 수출증가세가 10대 수출대국 중 최고인 것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경기개선에 따른 덕을 톡톡히 보고 있는 셈이다.

수출 호조에 따라 경제전망기관들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잇따라 상향 조정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소비둔화와 가계부채, 구조조정, 대외적으로는 중국의 경제보복과 미국발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이런 추세가 계속될지 낙관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 韓 1∼2월 수출 전년비 15.7% 증가…10대 수출대국 중 최고

23일 세계무역기구(WTO)에 따르면 올해 들어 1∼2월 전 세계 71개 주요국의 무역액은 4조8천420억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9% 증가했다. 연초 세계무역액이 증가세로 돌아선 것은 3년 만이다.

올들어 글로벌 경기가 개선되면서 1∼2월 71개국의 수출액은 평균 8% 증가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수출액이 늘어난 가운데, 줄어든 국가는 8개국에 불과했다.

한국의 1∼2월 수출액은 835억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15.7% 늘어 증가 폭이 10대 수출대국 중 최고였다.

같은 기간 세계 최대 수출대국인 중국의 수출액은 3천2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 늘었으며, 세계 2위인 미국의 수출액은 2천373억 달러로 6.9% 확대됐다.

▲ 사진=전남 광양항 컨테이너부두.(연합뉴스 제공)

3위인 독일은 2천141억 달러로 3.5%, 4위인 일본은 1천35억 달러로 9.2%, 5위인 네덜란드는 974억 달러로 12.1% 증가했다.

한국은 수출이 호조를 보이면서 세계 순위가 작년(연간) 8위에서 올해 들어 6위로 2계단 상승했다.

7위 프랑스의 수출액은 773억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1.8% 줄어든 반면, 8위 홍콩은 761억 달러로 9.2%, 9위 이탈리아는 707억 달러로 3.7%, 10위 영국은 687억 달러로 4.2% 각각 늘었다.

10대 수출대국은 아니지만, 올해 들어 수출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원자재 수출대국이었다.

호주가 38.2%로 71개국 중 가장 수출증가 폭이 컸으며, 러시아는 36.6%, 에콰도르는 34.1%, 우크라이나는 32.7%나 폭증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28.1%), 노르웨이(25.9%), 브라질(23.5%) 등도 뒤를 이었다.

1∼2월 국제유가와 구리 등 원자재 가격이 급등한 덕택이다.

아시아 국가들의 같은 기간 수출증가세도 인도네시아(19.4%), 필리핀(17.4%), 대만(16.2%), 싱가포르(15.9%), 베트남(15.8%), 말레이시아(14.8%) 등에서 돋보였다.'

◇ 韓 성장률 전망치 잇따라 상향…"수출이 경제성장률 좌우…대외여건 어려워"

올해 들어 글로벌 경기개선으로 한국 수출이 호조를 보인 덕택에 제조업 생산과 설비투자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국제통화기금(IMF)은 물론 한국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KDI), 해외투자은행(IB) 등 주요 경제전망기관들의 성장률 전망치 상향조정이 이어지고 있다.

 IMF는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2.6%에서 2.7%로, 한국은행은 2.5%에서 2.6%로, KDI는 2.4%에서 2.6%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국제금융센터가 이달 바클레이즈, 모건스탠리, 노무라 등 10개 해외 IB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 평균을 낸 결과도 2.5%로 2개월 전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해외IB 중에는 BoA메릴린치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2.9%로 가장 높았고 BNP파리바(2.8%)와 바클레이즈(2.5%), JP모건(2.5%) 등이 뒤를 이었다. 노무라는 2.0%라는 다소 낮은 성장률 전망치를 유지했다.

▲ 사진=라가르드 IMF 총재.(연합뉴스 제공)

성장률 전망치 상향조정에도 중국의 경제보복으로 인한 관광객 감소와 조선업 구조조정 등으로 잠재성장률(2.8% 추정)을 밑돌 것이라는 전망이 대세다. 소비부진과 가계부채, 구조조정, 지정학적 위험 고조, 중국의 경제보복, 미국발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으로 대내외 여건도 녹록하지 않다.

BoA메릴린치는 최근 보고서에서 "과거 사례를 보면 한국의 GDP 성장률은 주로 수출이 좌우한 가운데 차기 정부는 보호무역주의 등으로 대외여건의 어려움에 직면했다"고 평가했다.

앞을 장담할 수 없기는 글로벌 경제회복세도 마찬가지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가 IMF·세계은행 춘계총회 개막식에서 "경제에 봄기운이 감돌고 있다"고 말했듯 IMF는 최근 6년 만에 처음으로 글로벌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4%에서 3.5%로 상향 조정했다. 중국 경제의 강세와 일본과 유럽경제의 개선이 근거였다.

이는 전반적인 제조업과 무역 회복의 결실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평가했다.

라구람 라잔 전 인도중앙은행 총재는 FT에 "지금이 다른 때와 다른 것은 모든 엔진이 처음으로 가동되고 있다는 것"이라며 "매우 강하게 가동된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불은 붙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한순간에 최악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우려다.

라가르드 총재는 이번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 극우성향의 마린 르펜 후보가 당선될 경우 큰 혼란이 빚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안보를 이유로 철강수입제한이 필요한지 조사에 착수하라고 지시한 것도 우려되는 대목이다. 이는 그가 시행한 첫 심각한 보호무역주의적 조처로 중국이나 유럽연합(EU)의 보복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라고 FT는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