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시서 돈 빼는 中, 美도 뺄까…금융위기 후 62조원 순매수
상태바
한국 증시서 돈 빼는 中, 美도 뺄까…금융위기 후 62조원 순매수
  • 피터조 기자
  • 승인 2017.06.19 09: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리아포스트 한글판 피터조 기자] 중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이슈가 불거진 뒤 국내 증시에서 지속적으로 돈을 빼고 있다.

반면 미국은 한국 주식을 계속 사들여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60조원 넘는 순매수세를 보이며 우리 증시의 주춧돌이 되고 있다.

하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잇따라 기준금리를 올린 데 이어 자산축소 계획까지 거론하고 있어 마냥 낙관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한국 경제의 기초여건이 탄탄하고 기업 실적도 개선되는 상황이어서 급격한 자본 유출 가능성은 작지만, 최대 외국인 투자자인 미국이 '변심'하면 국내 증시에는 엄청난 충격파가 되기 때문이다.

▲ 사진=중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이슈가 불거진 뒤 국내 증시에서 지속적으로 돈을 빼고 있다.(연합뉴스 제공)

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중국은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국내 주식 4천68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중국은 올해 1월을 제외하면 작년 8월부터 지난달까지 9개월 동안 한국 주식을 계속 팔아치웠다. 올해 1월에도 순매수 규모는 380억원에 그쳤다.

중국은 2014년까지는 매년 1조∼2조원 가량의 순매수세를 보였으나 2015년 돌연 1천360억원의 순매도로 돌아섰다.

지난해 순매도 규모는 1조6천40억원으로 더 늘어났고 올해도 지난달까지 4천680억원의 매도 우위를 보이고 있다.

중국이 2015년부터 국내 증시에서 자금을 빼 온 이유 중 하나로는 사드 갈등이 꼽힌다.

중국은 2015년에는 11월까지 4천530억원의 순매수를 보이다 갑자기 12월에 5천891억원을 순매도해 연간으로는 1천360억원의 매도 우위를 나타냈다.

사드 갈등은 2015년 12월부터 점차 부각되다가 지난해 7월 국방부가 경북 성주를 사드 배치 후보지로 발표하면서 정점으로 치달았다.

그 이후 중국은 한국 단체 관광 전면 금지 등 보복 조처를 했고 그 여파는 지금까지 지속하고 있다. 당분간 중국의 자금유출은 지속할 전망이다.

중국과 달리 미국은 한국 주식을 거의 싹쓸이해왔다.

미국은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2008년 12월 기준금리를 연 0∼0.25%로 낮추며 제로(0) 금리 정책을 추진한 이후 60조원 넘게 한국 주식을 사들였다.

2009년 7조3천980억원의 순매수를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8년 동안 매년 매수 우위 행진을 이어왔다. 올해도 지난달까지 9천690억원을 순매수했다. 2009년부터 따지면 총 61조6천900억원을 순매수한 것이다.

이에 따라 2008년 말 64조5천80억원이던 미국의 한국 주식 보유액은 지난달 말 241조730억원으로 3.7배로 불어났다.

지난달 말 현재 미국의 보유액은 전체 외국인 보유액(581조1천730억원)의 41.5%를 차지했다.

▲ 사진=중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이슈가 불거진 뒤 국내 증시에서 지속적으로 돈을 빼고 있다.(연합뉴스 제공)

미국은 리먼 브러더스 사태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그동안 양적완화를 실시해 유동성을 시중에 풀었고 이 중 일부가 한국 등 신흥국으로 유입됐다.

하지만 미국이 제로금리를 중단하고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하면서 자금유출 우려는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미국은 2015년 12월 기준금리를 0.25~0.50%로 올린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 12월, 올해 3월에 이어 이번 달에 또 금리를 인상했다. 올해 9월이나 12월에 한 차례 더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경우 한국과 미국 간 기준금리의 역전 현상이 발생한다.

여기에 연준이 자산축소 계획까지 밝힌 상태여서 미국의 '돈줄 죄기'는 더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 경우 신흥국에서는 자금이 유출될 가능성이 더 커진다. 미국의 돈줄 죄기가 속도를 더해 급격한 자금유출이 발생하면 국내 증시에도 '충격파'가 미칠 수밖에 없다.

물론 투자 대상 국가의 기초여건과 정치·경제적 여건에 따라 분위기는 다를 수 있다. 한국의 경우 비교적 기초여건이 탄탄하고 기업 실적 개선으로 긍정적인 평가가 많아 급격한 자본유출 가능성은 작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와 달러화 흐름, 국내 경제 기초여건을 고려하면 한미 간 정책 금리 역전 현상이 외국인의 대규모 자금 이탈 현상을 촉발할 가능성은 작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국내 증시에 유입된 '핫머니' 성격의 자금 이탈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지난해 미국에 이어 한국 주식을 많이 사들인 국가는 룩셈부르크(4조2천860억원)였으며 아일랜드(8천830억원), 스위스(1천550억원), 케이맨제도(1천210억원) 등의 순매수 규모가 그 뒤를 이었다.

케이맨제도는 대표적인 조세회피처이고 룩셈부르크와 아일랜드, 스위스도 범조세회피처로 구분되는 지역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