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시장] 2018년도 인도 경제전망 및 주요 일정
상태바
[외교시장] 2018년도 인도 경제전망 및 주요 일정
  • 김형대 기자
  • 승인 2018.02.05 1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리아포스트 한글판 김형대 기자] 2018년 1월 인도 통계청(CSO)은 회계연도 2017/18 기준 경제성장률을 6.5%로 전망했다. 이는 직전연도의 7.1%는 물론 2014년 모디 총리의 취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의 성장이다.

코트라 임성식 인도 뉴델리무역관에 따르면 2016년 말의 화폐 개혁과 2017년 7월에 이루어진 통합간접세 제도 도입은 경제성장, 인플레이션, 산업 생산 및 수출과 같은 전반적인 거시경제 지표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주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통합간접세 제도 도입 이후 세계은행(World bank)은 사업용이성 평가에서 인도를 100위로 올려놓으면서 세제개혁의 효과를 특히 높이 평가했다. 인도 통계청은 2월 28일 회계연도 2017/18 기준 3분기 경제성장률과 연간 경제성장 전망치를 내놓을 예정으로 최근 완연한 경기회복세와 더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데이터와 함께 회계연도 2018/19 기준 연간 경제성장 전망을 발표할 예정이다.

▲ 사진=인도 경제.(인도 뉴델리무역관 제공)

◇ 경제성장

7% 경제성장률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되며 G20 경제권에서 가장 빠른 경제 성장세를 기록할 전망된다. 인도 통계청은 GDP 성장률을 회계연도 2017/18 기준 6.5%에서 회계연도 2018/19 기준 7.5%로 전망했다. 또한 인도 중앙은행은 GVA 성장률을 각각 6.1%와 7.4%로 전망하며 경기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공공임금과 연금소득의 인상, 농촌소득의 증가에 힘입어 내수가 활성화되면서 전반적인 인도 경제의 활성화에 기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인플레이션

인도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은 중립적인 기조를 취하고 있으나 최근 유가와 식품가격이 상승하면서 다소 긴축적인 포지션을 취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소비자 물가지수는 회계연도 2018/19 기준 1분기 5.0% 안팎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인도의 경우 식품가격의 변동이 심한 편으로, 특히 카리프(kharif, 초여름에 씨를 뿌려 가을에 거둬드리는 농작물) 생산에 영향을 주는 몬순 강우량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다. 2018년에도 몬순 강수량에 따라 식품가격과 소비자물가가 큰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인도 소비자물가의 또 한가지 변수는 바로 통합간접세의 세율 변동임. 인도 정부는 2017년 11월 생활품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세율 인하를 단행했으며 지난 1월에도 수십개 품목에 대해 세율 인하를 실시했다.  통합간접세 도입 이후 우려된 인플레이션이 생각보다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인도 중앙은행은 주의깊게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2017년 7월 초부터 상승하기 시작한 국제 원유 가격은 9월에 추가 상승했으며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인도의 경제구조상 유가상승은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한다. 유가상승 요인 등을 감안해 인도 중앙은행은 2018도 하반기 물가를 4.2~4.6%의 범위로 예상하고 있다.

◇ 통화정책과 이자율

경제개혁으로 둔화된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인도 중앙은행이 완화적인 태도를 취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 그러나 통합간접세 도입, 식품 및 유가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도 중앙은행은 전년 7월 이후 금리를 동결하면서 중립적인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

2018년에도 유가와 식품가격 상승이 우려되는 가운데 인도 중앙은행은 물가안정에 최우선을 둘 전망이다. 1월 말 현재 인도 중앙은행의 기준금리는 6.0%이며,  환매조건부채권(repo, RP) 금리는 5.75%이다.

◇산업성장

제조부문의 총 부가가치(GVA)는 2017년에 3504억 달러에 이르렀으며 GDP 기여율은 2016년 기준 16.51%로 나타났다. 인도 정부는 2022년까지 제조업의 GDP 기여율을 2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나 목표달성이 쉽지는 않을 전망이다.

통합간접세 제도 시행 전후 기업이 재고생산을 기피하면서 산업생산이 크게 위축됐으나, 지난 10~11월 축제시즌을 지나면서 점차 회복세를 보인다. 

◇외국인직접투자(FDI)

인도 정부는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지난 1월 주요 부문의 FDI 상한을 추가 완화했다. 정부의 외국자본에 우호적인 정책과 지속적인 기업환경 개선 노력 덕분에 인도로의 자본유입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인도 산업정책진흥국(DIPP)에 따르면, 회계연도 2017/18 1분기 기준 외국인 직접투자액은 104억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37%가 증가한 수치이다.

◇무역 및 상업

2016년 말까지 동반 감소세를 보였던 수출과 수입은 이후 회복되면서 회계연도 2017/18 기준 총 교역액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수입이 수출보다 크게 확대되면서 상품수지 적자가 누적되는 상황이다. 흑자인 서비스수지를 더해도 회계연도 2017/18 기준 4~11월간 경상수지 적자는 609억2786만 달러에 이른다. 이는 전년 동기의 300억9519만 달러와 비교해 2배 이상 확대된 수치이다.

◇2018년 주요 회담 일정

▲ 사진=2018년 주요 회담 일정.(인도 뉴델리무역관 제공)

화폐개혁과 통합간접세 제도 도입의 충격을 딛고 인도 경제는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 회계연도 2017/18 기준 1분기 5.7%에서 2분기 6.4%로 경제 회복세가 완연한 상황이다.

지속적인 FDI 유인책과 기업환경 개선 노력은 세계 기업들이 인도 시장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경제성장의 동력의 상당부분을 외국인 투자자금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이러한 상황은 인도 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코트라 임성식 인도 뉴델리무역관은 "통합간접세 세율 조정은 한국기업 수출제품의 현지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세율 인하·인상 품목 추이를 주의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식품, 생활용품의 세율은 상당히 낮아진 상황이며 가전제품, 기계 등의 내구재, 산업재에 대한 산업계의 인하요구가 확대되는 상황이다"라며, "전년 12월 구자라트 선거의 승리를 기반으로 모디 정부는 경제개혁을 지속 추진할 것으로 보이나. 상반기 예정된 동북부 지역 3개주 지방선거와 상반기 말 카르나타카 주 정부 총선거가 경제개혁 추동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조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