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재정운용 2017년 복지분야 의무지출 50% 넘는다
상태바
국가재정운용 2017년 복지분야 의무지출 50% 넘는다
  • 정택근 기자
  • 승인 2014.11.12 09: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령화 사회 진입하면서 재정 신축성과 경기대응 능력 저하
▲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5월 1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2014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법정 복지지출의 지속적인 증가로 정부의 의무지출이 전체 재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7년부터 5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가 경기 상황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재량지출의 비중은 줄어들게 돼 재정의 경기 대응 능력은 약화된다.  

재량지출 중에서 인건비, 국방비 등 경직성 지출을 고려하면 실제로 정부가 재량으로 조정 가능한 비경직성 재량지출 비중은 올해 36%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12일 정부의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2014∼2018년 총재정지출은 2014년 355조8천억원, 2015년 376조원, 2016년 393조6천억원, 2017년 408조4천억원, 2018년 424조원으로 매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이 가운데 복지 등 의무지출은 2014년 167조2천억원, 2015년 174조원, 2016년 192조2천억원, 2017년 205조1천억원, 2018년 219조6천억원으로 증가한다.

의무지출의 연평균 증가율은 7.1%로 총지출 증가율(4.5%)의 1.6배에 달한다.

총지출 대비 의무지출 비중은 2014년 47.0%에서 2015년 46.3%로 낮아졌다가 2016년(48.8%)부터 다시 증가해 2017년(50.2%)에는 50%를 넘어선다. 2018년 의무지출 비중은 51.8%로 증가한다.  

의무지출 비중의 증가는 재량지출 비중의 감소를 뜻한다. 재량지출 비중은 2014년 53.0%, 2015년 53.7%, 2016년 51.2%, 2017년 49.8%, 2018년 48.2%로 낮아진다.

국회예산정책처는 "복지분야 의무지출이 증가해 총지출 대비 의무지출 비중이 2017년 50%를 넘어서게 된다"면서 "2014∼2018년 복지지출의 연평균 증가율은 8.4%로 총지출 증가율보다 3.9%포인트 높다"고 설명했다.

예산정책처는 "복지지출은 공적연금(11.0%), 기초연금(15.0%), 건강보험 및 노인장기요양보험(6.8%) 등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두드러진다"고 덧붙였다.

한국이 고령사회에 진입하면 공적연금, 기초연금, 건강보험 등을 중심으로 의무지출이 빠르게 증가해 재정의 신축성과 경기 대응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의미다.  

재정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가 고용과 소득 등 경기 관리라는 점을 고려하면 의무지출 비중 증가가 경기 관리에 대한 재정의 역할을 축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재량 지출 중에서 인건비, 국방비 등 경직성 지출을 제외한 비경직성 재량지출 비중은 40%에도 미치지 못한다.  

예산정책처는 2014년 기준으로 비경직성 재량지출 비중은 36.9%라고 분석했다.

정부가 실제 재량으로 경기 관리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지출의 비중이 36% 정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예산정책처는 "의무지출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며 "신규 복지제도가 도입될 때마다 중장기적으로 재정지출, 재정수지, 국가채무 등 재정 총량에 미칠 영향을 분석해 도입 여부와 초기 사업규모를 결정하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선거와 관련해 경쟁적으로 복지제도의 공약이 이뤄지고 선거 이후 의무지출이 증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사전에 제어할 수 있는 선거 공약 비용추계 등과 같은 제도가 필요하다"고 예산정책처는 덧붙였다.

네덜란드와 호주 등은 선거공약에 대한 비용추계를 실시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