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서울만 누락된 'PIR' 통계...이유는?
상태바
올해도 서울만 누락된 'PIR' 통계...이유는?
  • 이명옥 기자
  • 승인 2021.08.19 09: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의 한 주택가.(사진출처:뉴스1)
서울의 한 주택가.(사진출처:뉴스1)

[코리아포스트 한글판 이명옥 기자] 최근 몇 년간 주택 가격이 급증하면서 소득 대비 집값을 보여주는 'PI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정부가 발표한 통계에서는 관심도가 가장 높은 서울 지역 PIR이 빠져 '알맹이'가 없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2018년부터 서울 PIR 제외…"시장 혼란 커져"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가 최근 발표한 '2020 주거실태조사'에서 전국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비율(PIR)은 5.5, 수도권 PIR은 8.0으로 나타났다.

PIR은 주거비 부담을 보여주는 주요 지표로 소득으로 집을 사는 데까지 얼마나 걸리는지를 보여준다.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았을 때 집을 구매하기까지 전국 평균으로는 5년 6개월, 수도권 평균으로는 8년이 걸린다는 의미다.

PIR 통계를 두고 현실에서 체감하는 기간과는 차이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실제 세간에서는 '평생 번 돈을 모아도 집 한 채 마련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여기에는 PIR 집계에서 서울 통계가 빠진 것도 이유로 작용한다. 정부는 2017년도 자료까지는 서울의 PIR을 발표했지만 이후부터는 서울시가 추가 표본을 조사한 뒤 최종 결과를 발표한다는 이유에서 제외하고 있다.

민간에서 발표하는 서울 PIR 값은 수도권·전국 수치를 상회하고 있다. KB부동산이 집계한 지난 3월 서울 PIR은 17.8로 18년간 아무 것도 사지 않고 소득을 모아야 집을 마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정부의 '2020 주거실태조사'의 조사 대상 기간은 지난해 7월~12월인데 같은 기간의 서울 PIR도 14.8~16.8로 전국 5.5, 수도권 8.0과는 차이가 크다.

여타 지역과의 차이를 정확히 비교하기 위해서라도 정부가 전국·수도권 등과 같은 방식으로 조사한 서울 PIR 값을 공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지표의 근거가 각기 다르면 시장에서는 혼란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며 "같은 기준으로 조사한 지역 통계를 공개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PIR, "사전청약 분양가 비싸다" 주장에 활용되기도

최근에는 3기 신도시 등 1차 사전청약의 분양가가 비싸다는 주장의 근거로 PIR이 활용되기도 했다.

참여연대는 지난달 PIR을 활용해 3기 신도시 등에서 진행되는 사전청약 추정 분양가가 너무 비싸다고 주장했다. 유엔 해비타트가 권고하는 적정 PIR 기준인 4로 계산했을 때 지난해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적절한 주택 가격은 2억9000만~3억4000만원이지만 사전청약 분양가는 이를 훌쩍 뛰어넘는다는 것이다.

참여연대는 인천계양이나 남양주진접2의 전용면적 74㎡ 주택은 추정 분양가가 4억5000만원 수준으로 PIR로 6.2에 해당하고, 성남복정1은 PIR이 9.5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PIR이 정부가 공급하는 주택 가격이 비싸다는 것을 보이는데 활용된 셈인데,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수년 뒤 본 청약 때 시세의 60~80%의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것이 정책 목표"라며 "추정치인 사전 분양가만 보고 확정치처럼 분석하는 것은 부담스럽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