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임명돼 ‘알박기’ 논란을 빚은 정기환 한국마사회 회장이 지원 당시 이력서와 자기소개서에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와 ‘마사회 적폐청산위원장’ 활동 경력을 내세운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의힘에선 “낙하산 인사가 적폐청산을 강조하는 게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안병길 의원이 16일 마사회로부터 제출 받은 정 회장의 지원서에 따르면 정 회장은 지난해 12월 지원 당시 15가지 경력사항을 적어냈다. 여기에는 ▶더불어민주당 19대 대선 중앙선대위 농민위원회 공동위원장(2017년 5월) ▶민주통합당 18대 대선 중앙선대위 농축산위원회 대외협력특별위원장(2012년 11~12월)으로 일한 경력이 포함됐다.
그러면서도 막상 말 산업 관련 논문이나 연구과제 수행에 관한 항목에는 답을 하지 않아 공란으로 뒀다. 대신 그는 전국농민연대, 국제가톨릭 농민운동연맹 등 시민단체 활동 이력을 언급하며 “농축산업과 농어촌에 대한 전문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또 “노동·여성·종교·문화·환경 등 다양한 부문과 연대활동을 통해 사회적 자본을 축적해왔다”며 “마사회를 불신했던 시민사회단체와의 신뢰회복이 중요하다”고도 썼다.
안병길 의원이 특히 문제삼는 지점은 정 회장의 지원 동기다. 정 회장은 자기소개서 지원 동기에 마사회 상임감사위원과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적폐청산위원회’ 활동 경험을 앞세우며 “(마사회의) 강도 높은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적폐청산위원장으로서 국정농단 연루의혹, 대규모 투자사업 실패와 인사문제 등에 대한 재발 방지책을 마련했다”는 성과도 기술했다.
안 의원은 “전문성도 없는 정치권 인사가 낙하산 인사로 공공기관에 가는 게 적폐 아니냐”며 “문재인 정권이 채 석 달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알박기 인사로 회장이 된 사람이 개혁을 추진하겠다는 건 상식이 맞지 않는 말”이라고 비판했다.
한국마사회 회장의 개인 사무실 면적은 214.5m2로 평수로 65평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이는 가이드라인의 두 배를 뛰어넘는 면적임. 마사회 상임감사(57.6m2)와 상임이사(53.1m2) 역시 기준 면적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농어촌공사의 경우 상임감사(90㎡), 상임이사(66.2㎡)가, 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경우 감사(65㎡)가 사무실 기준 면적을 초과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됐다.
콘도 회원권, 골프장 회원권 등 과도한 직원 복리후생 용도 등 보유 필요성이 낮은 자산 역시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에 따라 정리할 대상에 포함되어 있다. 확인 결과 한국마사회의 직원 1인당 콘도 회원권 금액이 173만원으로 다른 두 공공기관을 합친 규모(농어촌공사 61만원, AT 77만원)보다 더 큰 규모인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마사회는 총 141개, 44억원 상당의 콘도 회원권을 소유하고 있어 직원 1인당 회원권 자산액이 173만원으로 나타났다. 농어촌공사는 총 107개 37억원 상당의 회원권을 소유하고 있어 직원 1인당 회원권 자산이 61만원, 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총 27개 6.7억원의 회원권을 소유하고 있어 직원 1인당 회원권 자산 77만원으로 확인됐다.
콘도 회원권 외에도 한국마사회는 5억원 상당의 골프장 회원권까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는데, 세 공공기관 중 골프장 회원권을 가지고 있는 곳 역시 한국마사회가 유일했다.
안병길 의원은 “한국마사회,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세 곳은 문재인 정부 말기 전형적인 기관장 알박기가 이뤄진 곳”이라며 “이번 실태 점검은 알박기 기관장들이 새 정부의 공공기관 혁신 기치에 얼마만큼 반대에 서 있는지 알 수 있는 척도인 만큼, 세 기관들을 대상으로 가장 우선적이고 엄격한 개혁이 실현되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