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시장] 국내 전력기자재 기업, 日 도쿄전력을 공략하라

2017-10-12     피터조 기자

[코리아포스트 한글판 피터조 기자] 일본은  2016년 4월에 전력시장 개혁의 2단계인 '전력소매시장 자유화'를 시행한 상황이다.

코트라 이세경 일본 도쿄무역관에 따르면 1단계인 '광역계통운영기관(OCCTO) 설립'은 지난 2015년 4월에 시행된 바, 현재는 2020년 마지막으로 실시될 3단계 '송전과 배전부문의 법적 분리'만이 남아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기존의 10대 전력회사 독점공급체제에서 전력시장 자유화로 변화함에 따라 각 전력사가 '원가 절감이 곧 매출액 증대'라는 인식을 가지게 된 바, 보수적이었던 전력기자재 분야의 해외조달 검토가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일본 10대 전력회사의 연간 기자재 구매비용 및 인건비, 공사비용의 합계는 약 2조 엔이다. 그 중 도쿄전력이 약 1조2000억 엔으로 전체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원전사고 처리비용(연간 5000억 엔, 총액 21조 엔) 부담을 위한 매출 증대 및 비용 절감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2017년 9월 일본 법원이 '2011년 후쿠시마 제1 원전 사고'와 관련해 국가의 배상책임은 인정하지 않고, 원전 운영자인 도쿄전력에만 책임이 있다는 판결을 내림으로 인해 도쿄전력의 후쿠시마 배상 압박은 심화됐다.

도쿄전력의 송배전 회사인 'TEPCO Power Grid' 2016년 매출은 약 1100억 엔이다. 2017년 목표 매출액은 1500억 엔으로, 증가된 400억 엔을 후쿠시마 배상 비용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도쿄전력 구매부는 기존 거래처와 도쿄전력 그룹사에 30% 원가 절감을 일괄 요구하고 있어 기존 거래처에서의 해외 조달이 특히 활발히 검토되고 있다.

▲ 사진=기존 전력회사의 공급지역 및 신전력회사.(일본 도쿄무역관 제공)

기존 거래처에 원가 절감 요청을 보내기에 급급해 신규 제안 기업 평가의 여유가 없는 상황이기도 하다.

도쿄전력은 원전사고를 계기로 젊은 경영진으로 교체, 해외 업체를 참가시킨 경쟁 입찰 강화 등으로 조달개혁을 시행하고 있으나 기존 도쿄전력에 납품하는 일본 기업도 적극적으로 가격 인하에 동참하고 있어 해외기업의 전력사 안건 직접 수주는 많지 않다.

도쿄전력을 둘러싼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가 존재하기에 일본 전력기자재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유망기업들은 전력회사에 직접 납품하는 방식보다는 전력회사에 납품하고 있는 기존 거래처 대상 적극적인 마케팅을 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코트라 이세경 일본 도쿄무역관은 "일본의 10대 전력회사는 독점공급이라는 안정적인 수익 창출로 인해 표준사양을 통일하지 않아 각 전력회사에서 사용하는 전력 기자재의 사양이 모두 다르다"며, "일본 업체보다 가격경쟁력을 가지고 중국 업체보다 품질경쟁력을 보유한 상황에서 다양한 사양에 맞추어 나가며 소량 다품종에 대응할 수 있어야 일본 시장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