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물가상승률 8년만에 G7 평균 밑돌아
상태바
한국 물가상승률 8년만에 G7 평균 밑돌아
  • 정택근 기자
  • 승인 2015.02.12 10: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요부진으로 저물가 상태 구조화 우려

한국의 물가상승률이 8년만에 주요 7개국(G7) 평균치를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기로 접어든 선진국보다 경제 활력이 떨어진다는 의미여서 디플레이션의 전조로 보는 시각이 많다. 

여기에 주요국들이 앞다퉈 금융완화 기조에 돌입, 사실상 글로벌 환율 전쟁 양상으로 비화되면서 한국은행에도 금리 인하 압박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가계부채 급증과 임박한 미국 금리 인상 등 변수 때문에 오도 가도 못하는 형국이다.

12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연평균 소비자물가 (CPI) 상승률은 1.3%로 G7 평균치인 1.6%보다 0.3%포인트 낮았다.

저성장 상태에 진입해 물가가 안정된 미국·일본·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캐나다 등 G7 선진국 평균보다 물가상승률이 낮아진 것은 8년만에 처음으로 매우 이례적 현상이다.

1990년대 이후 G7보다 물가상승률이 낮았던 것은 IMF 구제금융 직후 사상 최저 수준인 0.8%를 기록한 1999년, 그리고 2006년 두 해 뿐이었다.

그러나 2012년 한국과 G7 물가가 각각 2.2%와 1.9%로 차이가 좁혀지더니 2013년에는 1.3%로 동일했고, 지난해에는 결국 역전됐다. 

지난해 G7 국가중 일본(2.7%), 캐나다(1.9%), 미국(1.6%), 영국(1.5%)은 한국보다 높았다. G7 중 한국보다 낮은 수치를 보인 나라는 독일(0.9%), 프랑스(0.9%), 이탈리아(0.2%) 3개국 뿐이다. 

OECD 평균도 1.7%로 한국보다 높았다. 더욱이 한국의 물가상승률이 2년 연속 1%대를 기록한 것은 사상 처음이다. 이는 한국은행의 중기 물가안정목표(2.5∼3.5%) 하단을 한참 밑도는 수준이다. 올해 1월 소비자물가는 0.8%로 2개월 연속 0%대로 주저앉았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한은은 부인하고 있지만 디플레이션과 경기침체가 이미 진행 중인 것으로 봐야 한다. 경제 안정기에 들어선 선진국보다도 물가상승률이 낮다는 것은 좋지 않은 신호"라고 말했다. 

성 교수는 "수요 부진 때문에 저물가 상태가 구조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적어도 2∼3% 정도 선에서 물가상승률이 유지돼야 경제의 활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한은이 기준금리를 낮춰 경기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우증권 윤여삼 연구원은 "1분기 GDP 성장률의 목표치 달성이 어렵게 되면 정책당국자들의 결단이 필요해질 것"이라며 "한은도 통화정책에 대한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한은이 가계부채와 미국의 금리인하 가능성 때문에 이번달에는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