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부실기업 쓰나미' 악재 몰려온다
상태바
은행권 '부실기업 쓰나미' 악재 몰려온다
  • 윤경숙 기자
  • 승인 2015.03.19 09: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남기업은 시작에 불과

1조원이 넘는 자금을 지원받고도 회생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 부실기업이 속속 출현하면서 은행들은 실적 악화의 두려움에 떨게 됐다.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은 경남기업[000800]은 잇따라 터져나올 부실기업 문제의 시작에 불과하다는 얘기도 나온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동부건설[005960], 대한전선[001440], 모뉴엘 등 3대 부실기업 악재가 발생하면서 은행권 전체로  1조원에 달하는 관련 손실을 냈던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올해 1분기에도 부실기업 문제가 속속 터져나오고 있다.

조원이 넘는 자금을 지원받고도 회생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 부실기업이 속속 출현하면서 은행들은 실적 악화의 두려움에 떨게 됐다.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은 경남기업은 잇따라 터져나올 부실기업 문제의 시작에 불과하다는 얘기도 나온다. 사진은 자원개발 비리 의혹을 수사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 관계자들이 18일 압수수색을 실시한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동 경남기업 본사에서 압수품을 들고 나오는 모습

 전날 러시아 유전개발 및 아프리카 니켈광산과 관련된 비리 혐의로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은 경남기업은 대표적인 '좀비기업'으로 불릴만한 부실기업이다.

수년 간 2조2천억원의 자금을 채권단이 쏟아부었는데도 회생 조짐이 안 보이는 경남기업은 전액 자본잠식으로 상장 폐지될 위험에 처했다. 건설경기 침체를 이겨내지 못해 2013년 3천109억원, 지난해 1천827억원의 연속 적자를 기록한 탓이다.

상장 폐지를 막기 위해서는 2천300억원이 넘는 추가자금 지원이 필요하지만 채권단 내에서는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아니냐"는 부정적인 기류가 지배적이다.

시중은행의 영원한 '골칫덩이'인 대한전선도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위험에 처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동부건설, 대한전선, 모뉴엘 등 3대 부실기업 악재가 발생하면서 은행권 전체로 1조원에 달하는 관련 손실을 냈던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올해 1분기에도 부실기업 문제가 속속 터져나오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12월 파산선고 받은 모뉴엘.

 채권단은 2012년 자율협약 후 ▲대출 7천억원 출자전환 ▲5천200억원 신규대출 ▲지난달 1천600억원 추가대출 결의 등 1조원이 훨씬 넘는 금액을 대한전선에 지원했다.

그럼에도 지난해 말 분식회계 혐의로 채권단에 2천억원 이상의 평가손실을 안기더니, 결국 대부분의 자본이 잠식돼 거래소가 관리종목 지정을 경고했다. 이후 부실이 더 쌓이면 상장이 폐지돼 채권단이 보유한 출자전환 주식은 '휴짓조각'으로 변하게 된다.

극심한 불황에 시달리는 조선 분야 부실기업은 사정이 더 안 좋다.

2010년 채권단과의 자율협약에 들어간 후 5년 동안 6천억원 가량의 지원을 받은 SPP조선은 최근 4천850억원의 추가 지원을 요구했다. 세계 조선업의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경영난을 벗어나지 못한 탓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동부건설, 대한전선, 모뉴엘 등 3대 부실기업 악재가 발생하면서 은행권 전체로 1조원에 달하는 관련 손실을 냈던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올해 1분기에도 부실기업 문제가 속속 터져나오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12월 파산선고 받은 모뉴엘.
추가 지원이 이뤄지면 총 1조원이 넘는 돈을 쏟아붓게 되는 채권은행들은 'NO'를 선택했다. 우리은행[000030],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등 채권단 내 정부기관들이 읍소했지만 소용없었다. 결국 정부 소유 은행과 기관들만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성동조선해양에 대한 지원 여부도 불투명하다.

SPP조선처럼 2010년 자율협약에 들어간 성동조선은 '덩치'가 훨씬 큰 탓에 지금껏 2조원에 달하는 자금을 지원받았다. 그런데, 선박 건조자금이 필요하다며 최근 채권단에 4천200억원의 추가 지원을 요구하고 나섰다.

채권단 내 기류는 부정적이다.

한 채권은행 부행장은 "도대체 언제까지 지원해야 하는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무작정 지원을 계속할 수는 없는 것 아니냐"며 "지역경제나 일자리 문제도 고려해야 하지만 은행 입장에서는 무엇보다 건전성 유지가 최우선이다"고 강조했다.

은행권에는 비상이 걸렸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경기침체 장기화로 한계기업이 자꾸 늘고 있어 부실기업 문제는 잇따라 불거져나올 가능성이 있다"며 "부실기업을 신속히 처리하고 싶어도 정치권, 금융당국 등에서 무언의 압력이 들어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신임 금융위원장이 우리은행의 기업가치를 높여 매각을 추진한다고 했는데 부실기업을 자꾸 지원하면 기업가치는 어떻게 올라가느냐"며 "기업대출의 부실은 결국 가계대출 부문의 이익으로 메워야 하는 만큼 은행권 부실기업 문제는 과감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