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에도 계속 치솟는 물가에 발등에 불 떨어진 소비자
상태바
하반기에도 계속 치솟는 물가에 발등에 불 떨어진 소비자
  • 김성현 기자
  • 승인 2021.09.05 09: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중구 롯데마트 서울역점에서 시민들이 간편식품 코너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출처:뉴스1)
서울 중구 롯데마트 서울역점에서 시민들이 간편식품 코너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출처:뉴스1)

[코리아포스트 한글판 김성현 기자] 4월 2.3%, 5월 2.6%, 6월 2.4%의 물가상승에도 정부는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라며 낙관했다. 지난해의 기저효과에 따른 '일시적 효과'이고 하반기에는 상승폭이 둔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이같은 예상은 보기좋게 빗나갔다. 7월과 8월에 연달아 2.6%의 상승률을 보이며 연중 최고치를 찍었기 때문이다. 정부는 추석 물가안정 대책을 평소보다 조기에 시작하는 등 물가 안정 총력전을 벌인다는 계획이지만 '물가안정목표'인 연간 물가상승률 2%대를 초과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5일 통계청이 앞서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8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8.29(2015=100)로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했다. 연중 최고 상승률은 물론, 지난 4월 이후 5개월 연속 2%대 물가상승률이 지속됐다.

통계청은 당황스런 기색을 보이고 있다. 당초 하반기 이후로는 물가 상승세가 줄어들면서 2% 이내의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봤는데, 하반기인 7월부터 2개월 연속 연중 최고 상승률이 나오면서 이전 전망과 정반대의 흐름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의 판단에는 4~6월의 물가 상승률이 지난해의 기저효과가 반영된 것이라는 계산도 깔려있었다. 실제 지난해 3월까지 1%대던 물가상승률은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된 4월 0.1%로 뚝 떨어졌고, 5월에는 -0.3%, 6월에도 0.0%의 보합세를 나타냈다.

이후 작년 7월은 0.3%, 8월은 0.7%로 회복되는 모습이었기 때문에 올 하반기부터는 기저효과가 사라지며 물가 상승률도 둔화될 것이라는 판단이었다. 그러나 7월에 이어 8월까지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이는 '오판'이 되고 말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하반기에는 농축수산물의 가격 상승폭이 둔화되고, 국제유가도 오름세가 확대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면서 "예상했던대로 수요 측면의 확대는 있었지만 공급 측면, 특히 농축수산물과 국제유가의 오름세가 생각보다 컸다"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의 물가상승에는 농축수산물과 석유류의 비중이 크다. 8월 물가상승률도 석유류와 농축수산물의 기여도가 56.1%(2.6% 중 1.48%p)에 달할 정도였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은 고병원성 인플루엔자(AI)로 인한 타격이 계속되고 있는 달걀은 3개월째 50%대의 상승률로 전체 물가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또 돼지고기(11.0%)와 닭고기(11.2%)도 두자릿수 상승률에 진입했고, 고춧가루도 20~30%대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다.

석유류의 경우 5월 이후 4개월째 20% 내외의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특히 휘발유(20.8%), 경유(23.5%), 자동차용 LPG(25.3%) 등 수요가 많은 품목들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더 높다.

이렇듯 서민들의 실생활과 밀접한 품목의 물가상승률이 높게 나타나면서 실제 '체감물가'는 더 높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실제 '생활물가지수'를 보면 7월에 이어 8월에도 3.4%로 전체값을 웃돌았다. 최근 4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이다. 생활물가지수는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1개 품목으로 작성한 지수다.

이같은 흐름이 이어지면 연간 물가상승률이 2%대를 기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현재 8월까지의 누계 물가상승률은 전년 대비 2.0% 높은 상황으로, 남은 4개월 모두 2% 미만의 상승률을 기록해야만 연간 상승률을 낮출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쉽지 않아보인다.

당장 9월에도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이 곳곳에 있다. 우선 1년 중 수요가 가장 많아지는 시기인 추석 연휴가 있고, 이달 6일부터는 1인당 25만원의 국민지원금 지급이 시작돼 소비 심리는 더 강해질 전망이다. 여기에 가을 장마 등 계절요인까지 겹치면서 농축수산물의 고공행진도 쉽게 잡기는 어려워보인다.

뒤늦게 '발등에 불'이 떨어진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총력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특히 물가체감도가 연중 가장 높은 추석 기간 '밥상물가' 안정을 최우선 정책과제로 삼는다는 게획이다. 물가 상승 폭이 가장 큰 계란의 경우 8월에 이어 9월에도 1억개를 수입한다.

통계청 관계자는 9월 이후 물가 전망에 대해 "상방 요인이 많지만 기저효과가 완화되고 명절을 앞둔 정부의 공급 대책 등의 효과가 작용한다면 예상못할 정도로 커지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4~6월의 물가 상승 흐름에서도 '일시적 흐름'이라는 오판을 했던 '전적'이 있기에 이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아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