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제조업체 79% "주력제품 성숙·쇠퇴기 들어섰다"
상태바
수출 제조업체 79% "주력제품 성숙·쇠퇴기 들어섰다"
  • 앤디현 기자
  • 승인 2016.03.21 09: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상의 "87% 신사업 계획 있지만…절반이상 아직 검토 중"

[코리아포스트   앤디현 기자]     수출 주력산업에 속하는 기업 10곳 중 8곳은 주력제품 매출이나 이익이 줄어드는 쇠퇴기 또는 정체기에 접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가전·반도체·자동차·석유화학 등 13대 주력 수출제조업체 3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응답 기업의 66.3%가 주력제품의 매출 확대가 더디고 가격과 이익은 점점 떨어지는 '성숙기'에 접어들었다고 답했다.

매출과 이익이 모두 감소하는 '쇠퇴기'에 들어섰다는 기업은 12.2%였다. 매출이 빠르게 늘면서 고이익을 거두는 '성장기'라고 답한 기업은 21.5%에 그쳤다. 새로운 시장이 태동하는 '도입기'라는 곳은 없었다.  업종별로 보면 성숙기라고 답한 업체는 컴퓨터(80%), 섬유(75%), 평판디스플레이(72.2%), 무선통신기기(71.4%)에서 많았다. 자동차(50%), 반도체(41.7%)는 비교적 적었다.

쇠퇴기라는 응답은 선박(26.1%), 섬유(25%), 평판디스플레이(22.2%) 순이다.  대한상의는 "섬유·조선 등 노동집약적인 산업 뿐 아니라 시장이 포화하고 기술력이 상향 평준화된 IT산업까지 구조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며 "반도체, 자동차 산업도 후발국의 추격과 시장변화가 빨라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응답 기업의 86.6%는 "신사업 추진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새로운 사업을 시도하기보다는 기존사업과 '연관된 분야'(45.7%)나 '동일 분야'를 추진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산업별로는 ICT 융합(47.9%), 신소재·나노(28.6%), 에너지 신산업(26.1%), 서비스산업 결합(9.7%), 바이오헬스(5.9%) 순으로 나타났다.  ICT 융합의 구체적 대상으로는 IoT·스마트홈(43.9%), 드론·무인기기(30%), 3D 프린팅(12.3%), 인공지능·로봇(11.5%), 가상·증강현실 시스템(4.3%)을 들었다.

그러나 구체적인 성과를 내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가능성 검토단계(56.6%)에 있다는 기업이 기술력 확보 등 착수단계(23.2%)와 출시단계(10.5%)에 있는 기업보다 많았다.  64.8%는 '자체 연구개발'을 통해 추진한다고 했다. 외부기술 도입(15.8%), 공동투자나 M&A(9.9%) 등의 방식도 있었다.

신사업 추진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으로는 49.5%가 불투명한 수익성을 꼽았다. 관련 기술과 노하우 부족(21.8%), 장기전략 부재(15.8%), 미래정보 부족(11.9%) 등의 답변도 있었다.  신사업 추진을 앞당길 방안으로는 안정적인 자금공급(26.1%), 규제개혁(20.5%), 테스트베드 활성화(17.8%), 사업재편과 M&A 등 자발적 구조개선 지원(17.2%) 등을 주문했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신산업 투자지원 정책에 대한 의견을 묻자 응답 기업의 92.8%가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정부는 지난달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네거티브 방식의 규제심사를 도입하고 R&D, 인력, 금융·세제 등을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기업들이 신산업시장의 수익성이 불투명하다고 느끼는 만큼 규제를 풀어 투자 욕구를 자극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금융·노동개혁과 규제정비 등의 노력을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