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시장]中 장단기금리역전 현상은 경기 둔화의 시그널?
상태바
[외교시장]中 장단기금리역전 현상은 경기 둔화의 시그널?
  • 정수향 기자
  • 승인 2017.05.25 10: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자료=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코리아포스트 한글판 정수향 기자] 중국의 2년물 국채 금리가 급등하며 10년물 금리를 상회하는 장단기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이에 대한 해석이 분분한 상태다. 

이같은 현상은 지난 2013년 6월 24일 'Cash Crunch' 이후 처음이다. 통상 장단기 금리의 역전이 경기침체의 전조로 해석된다는 점에서 경기둔화 시그널이라는 해석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메리츠종금증권의 예수빈 연구원은 25일 "이번 현상은 경기침체와는 거리가 먼, 중국 정책당국의 의도된 금융시스템 건전성 제고 노력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같은 해석의 근거로 우선 단기자금시장으로부터의 유동성 회수를 지적했다. 

지난 8년간 연평균 7730억위안이 역레포 거래(유동성 공급)를 통해 자금시장에 공급된 반면, 연초 이후로는 7650억위안의 유동성이 회수됐다. 

예수빈 연구원은 "이는 완화적인 통화정책 시행 과정에서 급등한 단기 유동성이 자산가격 변동성 확대로 연결되는 부작용과 은행간 자금거래를 통해 은행에서 비은행 금융기관으로 비정상적인 자금흐름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차단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진단했다. 

여기에 중국인민은행이 對시중은행 유동성 공급 금리를 인상하면서 단기물 시중금리의 상승을 더욱 유발시키고 있다. 

이에 대해 예 연구원은 "이는 위안화 가치의 지지와 연관이 있다"며 "미국 통화정책과 동조화
되며 내외금리차 축소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위안화 약세 압력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반면 10년물 금리의 상승 폭이 작았던 것은 자산-부채 듀레이션 합치 목적의 견조한 장기물 수요와, 최근 금리 상승으로 부담을 느낀 일부 기관이 채권 발행을 연기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부분적으로 일시적 요인이 작용한 셈이다.

한편, 유동성 조절이 실물경기 위축이나 경기침체로 연결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분석됐다.
 
예 연구원은 "실물부분의 자금수요를 반영하는 은행대출 증가율은 12~13%대에서 안정화돼 있기 때문"이라며 "중국 정부는 자금시장의 과잉 유동성을 억제할 뿐"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