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경제] 美 '레버리지론' 위험한 수준으로 부푼다
상태바
[외교경제] 美 '레버리지론' 위험한 수준으로 부푼다
  • 김형대 기자
  • 승인 2017.09.25 13: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리아포스트 한글판 김형대 기자] 글로벌 시장에서 부채를 안고 있는 기업의 자산을 담보로 자금을 빌려주는 '레버리지론' 규모가 위험한 수준으로 부풀고 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산하 LCD에 따르면 미국 레버리지론 규모는 올해 들어 53% 증가하면서 2007년 기록인 5천340억 달러에 바짝 다가서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에서 올 초부터 지금까지 사모펀드 인수로 발행된 레버리지론 규모는 885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4% 늘었다. 레버리지론은 2007년 이후 가장 큰 규모로 치솟을 조짐을 보이고 있다.

고수익 고위험 채권인 하이일드 회사채 거래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많았다.

유럽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감지되고 있다.

올해 8월까지 체결된 레버리지론 규모는 총 76억 유로로 7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또 올해 유럽의 레버리지론 가운데 70%는 커버넌트 라이트(covenant-lite) 채권이었다. 이 채권은 채권자 보호 장치가 제한적이라 고위험 채권으로 분류된다.

레버리지론은 기업이나 사모펀드(PEF)가 인수·합병(M&A)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피인수 기업의 자산을 바탕으로 대출하는 것을 뜻한다.

채무불이행(디폴트) 가능성이 크며 금융위기 이전까지 레버리지론의 증가는 시장 과열의 징후로 분류됐다.

▲ 사진=글로벌 시장에서 부채를 안고 있는 기업의 자산을 담보로 자금을 빌려주는 '레버리지론' 규모가 위험한 수준으로 부풀고 있다.(연합뉴스 제공)

문제는 경기가 식으면 막대한 레버리지론은 금융시장을 짓누르는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S&P/LSTA 레버리지론 지수에 따르면 지난 2008년 금융위기로 미국에서 레버리지론 투자자의 30%가 손실을 봤다.

최근 아동완구업체 토이저러스의 파산보호 신청도 레버리지론과 하이일드 채권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헨리크 존슨 도이체방크 글로벌 부채-자산 공동부문장은 "시장에 점점 거품이 끼는 느낌"이라며 "조정이 벌써 일어났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유럽에서는 해외 채권을 쓸어담는 움직임도 관측된다.

지난 5∼7월 사이에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투자자들은 총 1천608억 유로어치의 해외 채권을 사들였다. 이는 3개월간 매입 규모로는 사상 최대다.

유럽중앙은행(ECB)이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을 예고했지만, 여전히 유럽 국채보다는 해외 채권이 매력적이라고 판단한 것이라고 WSJ은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