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 결과 조작될라'…美 전자투표기계 해킹에 취약 우려
상태바
'투표 결과 조작될라'…美 전자투표기계 해킹에 취약 우려
  • 박병욱 기자
  • 승인 2016.08.03 09: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민주당 대선 경선에서 전자 투표 기계로 투표하는 미국 유권자

[코리아포스트 박병욱 기자] 폭로전문사이트 위키리크스의 미국 민주당 전국위원회 지도부 인사 이메일 공개를 둘러싸고 러시아 정보기관의 해킹 의혹이 불거진 상황에서 미국 전자 투표기계의 안전성이 관심의 대상으로 떠올랐다.

특정 외부 세력이 미국 전자 투표기계의 허점을 틈타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면 오는 11월 대통령 선거 결과를 조작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일(현지시간) 미국 공영방송 NPR과 정보기술(IT) 전문매체인 와이어드에 따르면, 선거 단체를 중심으로 전자 투표기계의 보안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게 일고 있다.
          

최근 일리노이 주 선거관리위원회는 주(州) 등록유권자의 데이터베이스가 해킹당하자 이를 즉각 폐쇄했다. 애리조나 주도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해킹 경고를 접한 뒤 등록유권자 관련 시스템을 닫았다.

지난 5월엔 보안 전문가 데이비드 레빈이 플로리다 주 리카운티의 선관위 웹사이트에 침입했다가 경찰에 체포됐다.

그는 유튜브에 올린 동영상에서 선관위 시스템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주려고 했다고 밝혔다.

강력한 투표 보안과 투표 후 철저한 감사를 지지해 온 비영리단체인 베리파이트 보팅의 퍼멜러 대표는 "전자 투표 시스템이 완벽하게 갖춰지더라도 누군가가 투표에 개입해 결과를 바꿀 가능성은 남아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미국의 투표 관리가 중앙이 아닌 지역 차원에서 이뤄지고, 전자 투표 시스템과 보안의 기준도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누구라도 어렵지 않게 해킹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와이어드는 대다수 전자 투표 기계가 운영체제 윈도 XP 기반이어서 악성 소프트웨어 방어에 취약하다고 전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014년 4월 윈도 XP 보안 패치 배포를 중단했다.

NPR은 다만, 의심스러운 투표 결과를 대조할 수 있도록 종이 투표 용지 결과를 병행 지원하는 전자 투표 기계를 사용하는 유권자들이 늘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라고 전했다.

뉴욕대 법학전문대학원의 공공정책 재단인 '정의를 위한 브레넌 센터'의 래리 노든은 "미국 유권자의 80%는 올가을 대선에서 스캐너를 통해 읽을 수 있는 종이 투표지 또는 종이 투표지 형태로도 똑같은 결과를 살필 수 있는 전자 투표 기계 등 둘 중에 하나를 택해 투표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델라웨어와 조지아, 루이지애나, 사우스캐롤라이나, 뉴저지, 펜실베이니아, 버지니아 등 종이 투표지 대조 지원 기능 없이 전자 투표 결과만을 그대로 옮기는 DRE(Directing Recording Electronic) 투표기계를 사용하는 주에선 해킹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해당 지역에선 투표지의 진위를 대조할 예비용 종이 투표지가 없기 때문에 해커의 집중 타깃이 될 수 있다.

또 많은 주가 채택한 국외 체류자와 파병 군인의 온라인 부재자 투표도 확인 가능한 우편 투표가 아니기에 조작의 빌미를 준다는 우려도 있다.

와이어드는 현재로선 해킹을 감지하고 사이버 공격을 피해 투표 결과를 정확하게 집계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 종이 투표와 전자 투표 내용을 서로 대조하는 '투표 후 감사'이나 미국의 모든 주가 이 정책을 시행하는 것은 아니어서 불안 요소라고 지적했다.

▲ 종이 투표지를 스캔해 데이터를 축적하는 전자 투표기를 사용 중인 미국 유권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