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시장 개척 지자체 무역사절단…성과는 '글쎄'
상태바
해외시장 개척 지자체 무역사절단…성과는 '글쎄'
  • 김진수 기자
  • 승인 2017.09.06 10: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리아포스트 한글판 김진수 기자]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중소기업들을 해외로 파견해 새로운 시장 개척을 돕는 일명 '무역사절단'의 성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파견 기업이 실제 수출 계약을 따내는 사례가 매우 적어 지원 사업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6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매년 3∼4차례 기술력이 우수한 중소기업들이 수출 상담·계약을 할 수 있도록 시장 개척단을 꾸려 파견한다.

파견 지역은 대부분 급속한 경제 성장으로 신흥 시장으로 떠오르는 동남아, 러시아, 중동 등지다.

지역의 우량 중소기업들을 선정한 뒤 편도 항공료, 통역료, 상담장 임차료 등을 지원해주고 해외 바이어와 직접 수출 상담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방식이다.

앞서 인천시는 올해 3월과 5월 2차례에 걸쳐 인천 내 중소기업들로 구성한 시장 개척단을 해외에 파견했다.

인도와 미얀마를 비롯한 서남아시아에는 10개 업체가 파견돼 150건의 상담 건수(717만6천 달러 상당)를 기록했지만, 실제 계약은 3건(11만3천 달러)에 그쳤다.

애초 104건의 계약이 성사돼 140만5천 달러의 수출 계약을 따낼 수 있을 것으로 시가 예상한 것과는 천지 차이다.

5월에도 멕시코와 페루에 9개 업체가 파견돼 81건의 상담 건수를 기록했지만, 실제 수출 계약으로 이어진 건은 한 건도 없었다. 시는 최소 30건(376만 달러 상당)의 계약이 성사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이 역시 빗나갔다.

이밖에 인천 내 10개 군·구도 각각 자체 무역사절단을 꾸려 중소기업들을 해외에 파견하고 있지만, 실제 수출 계약으로 이어지는 건은 상담 건수와 비교해 매우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해외 파견을 한 번 하고 끝인 게 아니라 이후에도 업체가 해외 바이어와 계속 접촉할 수 있도록 뒷받침을 해주는 등의 꾸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사진=산업단지 전경.(연합뉴스 제공)

시가 지원하는 시장 개척단은 원칙적으로 같은 기업이 1년에 2차례 이상은 참가할 수 없게 돼 있다. 특정한 이유로 참가 업체 수가 미달하는 경우, 같은 업체가 1년에 3차례까지 참가할 수 있지만 그런 경우는 드물다.

자금 사정이 열악한 중소기업의 특성상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한데도 불구하고 한 기업이 2차례 이상 사업 지원 혜택을 보기는 어려운 구조다.

인천시의 한 관계자는 "신규 시장 개척은 말 그대로 '맨땅에 헤딩'이어서 한 번 파견만으로는 큰 효과가 없다"며 "우리 기업들이 우수한 제품을 가져가도 가격을 지나치게 낮춰달라는 요구를 하는 경우도 있어서 실제 계약으로 이어지기가 어려운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9월에도 두바이와 터키에 시장 개척단을 파견할 계획"이라며 "해외 파견됐던 기업들의 이후 실적을 팔로업하는 등 시장 개척단 사업을 꾸준히 지원하고 있다"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