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시장] 인도 통신기기 시장, 정부의 '날개' 달았다
상태바
[외교시장] 인도 통신기기 시장, 정부의 '날개' 달았다
  • 피터조 기자
  • 승인 2017.11.22 13: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리아포스트 한글판 피터조 기자] 세계 2위의 인도 통신기기시장이 끊임없이 성장하고 있다.

코트라 김태룡 인도 첸나이무역관에 따르면 12억을 넘어선 통신망 가입자 수와 각종 정부 정책으로 지속 성장이 전망된다고 전했다.

 통신기기(HS Code 8517)는 전화기(핸드폰 및 그 밖의 무선통신용 전화기 포함)와 음성·영상이나 그 밖의 자료의 송·수신용 기기를 포함하며 대표적인 품목으로는 휴대폰과 그 부분품(HS Code 851712/70), 유·무선 전화기(HS Code 851711)와 같이 소비재 품목에서부터 유·무선통신을 위한 기지국(HS Code 851761), 교환기·라우터(HS Code 851762) 등 기반시설 및 산업용 품목을 아우르고 있다.

2017년 7월 기준 인도의 통신 가입자 수는 12억1000만 명으로 2016년 대비 17.48% 성장했으며, 시장조사 전문기관 BMI를 인용한 인도 정부 발표에 따르면 이는 세계에서 2번째로 큰 시장 규모다.

인도 인구의 70%는 교외에 거주하고 있으며 사회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현 상황에서 교육, 문화, 경제 등 다방면에서 통신망은 이들의 생활과 떼어낼 수 없는 필수재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인도 정부는 인터넷기술을 바탕으로 사회·경제 체제 전반에 대한 개혁(생체인식정보와 금융거래 연계, 세금 및 보조금 시스템 연동, 화폐 개혁 추진 등)을 추진하고 있어 통신기기는 인도인에게 있어 그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사진= 인도 통신산업 시장규모.(인도 첸나이무역관 제공)

인도 IBEF(India Brand Equity foundation)의 발표에 따르면, 인도 전체 통신 시장 규모는 2017년 426억 달러에 달하며 연평균 7.31%의 성장을 기록했다.

이중 통신기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기준으로 약 200억 달러로, 산업 전체 규모의 50%를 약간 웃도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인도의 통신시장은 2015년 정부 주파수 경매를 전후로 관련 기업들의 대규모 시설투자가 이루어지며 급격하게 성장함. 2015년을 기점으로 이전과 같은 두 자릿수 이상의 폭발적인 성장을 보여주지는 않고 있으나, 꾸준히 수입액이 증가하고 있으며 전년회계연도 기준으로 7.78%의 성장을 보였다.

인도 통신기기 수입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나 2017년 11월 현재는 국내시장의 수요를 따라갈 만큼 현지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당분간 이러한 추세가 이어지겠지만 타 산업과 마찬가지로 Make in India 정책의 진행에 따라 관련 제품에 대한 관세 강화와 각종 인증제도 도입이 전망되고 있어 향후 정부 정책 및 제도 변화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인도의 대한 수입은 2013년부터 급격히 증가해 2017년 11월 현재 수입 규모는 약 13억 달러에 이르며, 이는 인도 통신기기 전체 수입액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2012~2015년까지의 급격한 대한 수입 성장세는 Reliance Jio의 4G망 구축사업에 삼성전자와 국내 30여 개 중소, 중견 기업이 동반진출 중심으로 성장했다.

중국산 제품의 인도 진출이 본격화된 2015년 이후에는 통신기기 대한 수입 성장세가 크게 둔화했으며 2017년의 경우는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함. 하지만 기반시설 구축 관련 품목의 경우 꾸준히 그 수출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2017년 11월 현재 인도 통신기기 시장은 중국이 저가 제품 공세를 바탕으로 전체 수입액의 69.4%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인도 소비자의 높은 가격탄력성에 기인한 것으로 양질의 고가품보다는 최소한의 효용을 충족하는 저가제품을 선호하는 현지 특성이 반영된 것이다.

하지만 국민소득의 지속적인 향상으로 소비형태도 점차로 다양화되고 있으며, 낮은 가격보다는 안정적인 서비스 등을 추구하는 소비형태도 조금씩 확대되고 있어 관련 제품군의 스펙트럼이 점차로 넓어지고 있다.

소비자가 직접 구매하는 휴대폰 등을 제외한 기지국 등 통신장비는 소수의 인도 통신사업자들이 주 구매자이다. 인도 시장의 경우, 넓은 영토에 따른 관련 기반시설 구축 비용이 많이 들고 정부규제가 심해 대규모 자본을 갖춘 소수기업만이 통신 시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급자보다는 수요자의 선택이 중요하므로 주요 통신사들이 겪고 있는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방안을 제시해 판로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통신기기 특히 기지국 등 기반설비에 사용되는 품목의 경우 정책적으로 통신망 보급에 나서고 있어 기본관세와 수입품에 부과되는 교육세가 면제되는 경우가 많다.

기지국과 모델, 라우터 등을 포함한 송수신 장비의 경우, 2017년 11월 기준 현재까지는 수입규제가 거의 없다. 하지만 철강산업에서와 같이 인도 정부가 자국 산업 보호를 명목으로 향후 각종 비관세 장벽(품질인증제도, 수입 라이선스 등)을 도입할 가능성이 있다.

인도 표준국(BIS)에서 인도 표준(IS)을 관리하고 있으며 전자제품의 경우, 하기와 같이 필수 인증제도를 도입하고 있어 관련 주의가 필요하다.

인도는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수입, 유통을 위한 필수인증을 확대하고 있어 관련 정부 동향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DIGITAL INDIA 정책의 최대 수혜산업은 통신분야가 될 것으로 전망, 전국단위의 통신망 확충과 스마트시티 추진에 따른 크고 작은 IT 프로젝트가 꾸준히 발주되며 기지국과 같은 통신기기의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고 이를 누리는 개인 가입자도 지속해서 확대될 것이다.

▲ 사진=인도 현지 통신사를 통해 대중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중국 ZTE IP공유기.(인도 첸나이무역관 제공)

개인의 신체정보를 이용한 Aadhaar와 은행, 통신분야의 연동은 투명한 인도를 만들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앞으로 인도에서는 통신망과의 연결이 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수적인 재화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특히 넓은 영토를 가지고 인구 70% 이상이 도시가 아닌 교외지역에 흩어져 사는 상황에서 무선통신망에 대한 투자는 지속해서 확대될 전망이다.

코트라 김태룡 인도 첸나이무역관은 "인도 정부 정책은 불안정성이 높고 자국산업 보호를 위해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고 있음. 2017년 11월 현재 통신산업분야의 문호는 활짝 열려있는 상황이나, 향후 통신산업이 자국육성산업 우선순위에 오르게 될 경우 단시간에 각종 제재가 가해질 가능성이 높다(자동차, 철강산업 등)"며, "이에 대비해 현지 생산기지 구축, 현지 파트나 발굴 등 다각도로의 접근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