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경제] 사드여파로 3분기까지 한류흑자 40%↓
상태바
[외교경제] 사드여파로 3분기까지 한류흑자 40%↓
  • 최민식 기자
  • 승인 2017.11.11 09: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행 수입도 22%↓

[코리아포스트 한글판 최민식 기자]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THAAD) 배치에 따른 중국의 보복 여파로 문화 콘텐츠 수출로 벌어들인 한류 관련 수지 흑자가 40% 감소했다.

중국인 관광객이 줄며 여행 수입 감소율도 두 자릿수에 달했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9월 '음향·영상 및 관련 서비스' 수지 흑자는 2억4천38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동기 4억830만 달러보다 40.3% 감소한 규모다.

음향·영상 및 관련 서비스 수지 흑자가 줄어든 데는 관련 수입 규모가 쪼그라든 탓이 컸다.

월간 기준으로 보면 음향·영상 및 관련 서비스 수입은 지난해 5천만∼9천만 달러대를 꾸준히 기록했다. 특히 작년 6월에는 9천560만 달러로 1억 달러에 육박하기도 했다.

그러나 음향·영상 및 관련 서비스 수입은 올해들어 ▲ 5월 4천400만 달러 ▲ 6월 5천700만 달러 ▲ 7월 4천410만 달러 ▲ 8월 4천890만 달러 ▲ 9월 5천350만 달러에 그쳤다.

음향·영상 및 관련 서비스 수지는 음악과 영화, TV 프로그램 등과 관련된 지표다.

중국, 동남아 등에서 한국 드라마, 영화, 음악이 인기를 끌며 음향·영상 및 관련 서비스 수지 흑자 규모가 커지는 추세였다.

그러나 지난해 7월 사드 배치 발표 이후 중국의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으로 흑자 확대에 제동이 걸렸다.

중국은 한국의 문화 콘텐츠 수출을 전면 금지하고 한류 스타들의 중국 활동을 막았다.

중국 드라마에 출연하기로 한 한국 배우가 하차하고 한류 문화행사는 잇따라 취소하며 '중국 특수'가 사라졌다.

문화 콘텐츠 수출뿐 아니라 여행 수입에도 사드가 직격탄이 됐다.

올해 1∼9월 일반여행 수입은 100억5천730만 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2.1% 줄었다.

일반여행 수입은 외국인이 유학, 연수가 아닌 여행이나 출장을 목적으로 한국에 머물면서 쓴 숙박료, 음식료품비 등을 뜻한다.

월간 기준으로 보면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올해 내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특히 중국 정부가 방한 단체 관광 상품 전면 금지 조치를 시행한 3월 15일 이후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 발길이 끊긴 이후 타격은 더 극심했다.

4월 일반여행 수입은 전년보다 28.0% 감소했고 5월에는 감소 폭이 46.3%로 확대됐다.

6월(-32.5%), 7월(-25.7%), 8월(-10.5%)까지 일반여행 수입 감소율은 쭉 두 자릿수였다.

이는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방문객 1천720만명 중 절반에 가까운 46.8%(806만명)가 중국인일 정도로 중국 의존도가 높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만 한류 흑자, 일반여행 수입이 조만간 개선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외교부는 지난달 31일 홈페이지에서 '한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 간 협의 결과'를 발표하며 양측이 모든 분야의 교류 협력을 정상적인 발전 궤도로 조속히 회복시켜 나가자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중국의 사드 배치에 따른 보복 조치를 완화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진 상황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